본문 바로가기
우리의 세금이야기

K-Pass란? 2024년 도입된 교통비 환급 제도, 제대로 활용하는 법

by endless77 2025. 6. 3.
반응형

k-pass 교통카드 사진과 버스 사진

2024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된 ‘K-Pass’는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최대 30%까지

교통비를 환급해주는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.

 

이 글에서는 K-Pass의 개요부터 신청 방법, 환급 조건,

알뜰교통카드와의 차이점까지 실질적인 정보를 상세히 설명합니다.

- K-Pass 교통비 환급제도, 한눈에 정리

 K-Pass란?

2024년부터 전국 시행된 정부 교통비 환급제도
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 시 사용 금액의 최대 30%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.

  • 기존 알뜰교통카드와 달리 도보 거리 측정 없음
  • 실제 교통비 지출 기준으로 환급
  • 환급금은 현금으로 매월 계좌 입금

💡 K-Pass 기본 정보

항목내용
시행시기 2024년 1월 전국 시행
지원대상 만 19세 이상 대중교통 이용자
사용지역 수도권(서울, 경기, 인천) 및 전국 주요 광역시 (부산, 대구, 대전, 광주, 울산, 세종, 제주 등)
전용카드 필요 O (기존 교통카드 사용 불가)
제휴카드사 신한, 하나, 우리, 국민 등
환급방식 현금 입금 (카드 결제계좌로 자동 입금)
 

💰 환급 조건은?

대상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환급비율

 

일반 성인 월 교통비의 10% 환급
청년(19~34세)·저소득층·장애인·국가유공자 최대 30%까지 환급 가능
 

예: 월 10만 원 사용 시 → 일반인 1만 원, 청년은 최대 3만 원 환급

※주의사항

  • 하루 10회 이상 이용은 실적에서 제외
  • 같은 달에 K-Pass와 알뜰교통카드 중복 사용 불가

📝 신청 방법

  1. 공식 사이트 접속: https://korea-pass.kr/ 또는 'K-Pass' 앱 다운로드
  2. 전용 교통카드 신청 및 등록
    • 본인 명의 제휴 신용/체크카드만 등록 가능
  3. 자동 실적 집계매달 현금 환급

🔄 알뜰교통카드와의 차이점

항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K-Pas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알뜰교통카드

 

기준 교통비 지출 금액 도보 거리 + 교통비 실적
환급 방식 현금 환급 마일리지 적립
실적 측정 자동 측정 앱을 통한 도보 거리 기록 필요
사용카드 전용 제휴카드 필요 전용 알뜰카드 필요
환급률 최대 30% 평균 10~20% 수준
 

👤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

  • 월 7만 원 이상 교통비를 지출하는 분
  • 매일 통근·통학으로 버스/지하철을 자주 이용하는 분
  • 도보 측정 등 복잡한 절차 없이 간편하게 환급받고 싶은 분
  • 청년층, 대학생, 취준생, 프리랜서, 무직자 등 실질적인 교통비 절감이 필요한 분

🧾 교통비, 이제 환급받으세요

매일 쓰는 교통비, 모르면 손해입니다.
K-Pass는 복잡한 절차 없이 전용카드만 등록하면 자동으로 실적이 쌓이고, 현금으로 환급됩니다.
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 방식이 번거롭게 느껴졌던 분이라면,


K-Pass가 훨씬 간편하고 실용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

👉 지금 바로https://korea-pass.kr/에서 카드 신청하고 환급 혜택 받아보세요!
단 한 번의 등록으로 매달 최대 30% 절약이 가능합니다.

반응형